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무관이란 사무를 주관하여 처리하는 관리로써, 실무를 직접 담당하는 하위직 공무원을 뜻하는 말이다. 그럼 주무관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어떠한 사무를 주관하여 처리하는 관리(공무원)를 뜻하는 말로, 주로 직위가 없는 6급 이하 공무원의 대외 직명(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공무원의 경우 계급은 없지만 직급으로 지위의 높고 낮음을 구분하는데요, 일반직 공무원 직급별 명칭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직 공무원은 9급이 가장 낮고 1급이 가장 높은데요, 아래와 같이 각 직급별로 직명(명칭)이 부여됩니다. 9급은 서기보, 8급은 서기, 7급은 주사보, 6급은 주사, 5급은 사무관, 4급은 서기관, 3급은...
7급이하 공무원에 대외직명 부여 (인천=뉴스와이어)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는 하위직 공무원에 대외호칭을 부여하는 대외직명제를 오는 10월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상수도사업본부는 현장에서 시민과 일상적으로 접하는 7급이하 직원에 대하여 업무분야별 특성을 살린 호칭부여로 담당직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게하고 담당...
공무원 명칭 ┖주무관┖으로 변경┖주사┖로 불렸던 충북도청 6급 이하 공무원들에게 오는 4월부터 ┖주무관┖이란 대외 직명이 일괄 부여된다. 충북도는 공무원노조가 직위명이 없는 6급 이하 일반·별정·기능·계약직 공무원들의 대외 직명제 도입을 제안해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긍정적 답변이 월등해 다음 달부터 대외 직명제를 시행키로 했다고...
6급 이하 실무공무원들의 대외명칭이 ‘주무관’으로 통일됐다. 시는 직위명이 없는 6급 이하 실무공무원들의 대외명칭을 ‘주무관’으로 통일하는 내용의 ‘성남시 실무공무원 대외직명제 운영 규정’을 제정해 지난 20일 공포했다. 이번 대외직명제 운영 규정은 대외직명을 사용하게 되는 대상 공무원을 6급이하 일반직 공무원과 별정직, 기능직, 계약직 공무원...
직명이 없었던 6급 이하 공무원의 사기를 진작하기 위해 도입한 ‘대외직명제’가 2년 만에 안정적으로 정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4월 기준으로 49개 중앙 행정기관(15부·3처· 18청·9위원회, 대통령실, 감사원, 국무총리실, 특임장관실) 전체에서 대외직명제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외직명제란 6급 이하...